Kotlin 2

안드로이드 Looper & Handler 기초 개념

안드로이드의 UI 동작 안드로이드를 개발해본 사람들이라면 다들 알다시피, 안드로이드의 UI 처리는 싱글 쓰레드 모델로 동작한다. 즉, 메인 쓰레드가 아닌 다른 쓰레드에서 UI 를 업데이트하는 등의 행위를 하면 안된다. 따라서 메인 쓰레드를 UI 쓰레드라고 부르기도 한다. 왜 UI 는 싱글 쓰레드 모델로 동작할까? 이유는 간단하면서도 당연하다. 멀티 쓰레드 환경이라고 가정했을 때, 여러 쓰레드에서 TextView 의 텍스트를 변경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 지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이다. 즉, UI 동작의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. 이러한 싱글 쓰레드 모델에서 지켜야할 포인트들 `메인 쓰레드 (UI 스레드) 를 블로킹해서는 안 됨 → 메인 쓰레드를 블로킹한다는 뜻은,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UI ..

카테고리 없음 2022.04.18

객체지향과 절차지향의 오해

하나하나씩 뜯어보면서 알아보자 위의 사진을 보자. 먼저 절차지향을 보면 순서대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임이 틀림없습니다. 그 다음으로 눈길이가는 객체지향을 확인해봅시다. 개별적으로 자주 참조되거나 호출되는 변수들을 분리하는 함수들을 '객체'라는 틀로 묶어서 사용했다는 것은 둘째 치고, 순서대로 차근차근 진행되는 실행방식에 있어서는 차이점이 없는 것 같습니다. 문제점을 짚어보자 🔎 평소에 우리는 객체지향에 대해 알아보려면 어떻게 하나요? 네 맞습니다. 절차지향 방식이랑 비교를 합니다. (마치 꼬리표처럼 말이죠.)➰ 하지만 이상하지 않나요? 왜 객체지향을 공부할때는 항상 절차지향과 비교를 하는건가요? 객체지향은 코드가 절차에 따르지않고 동시다발적 혹은 순서가 없다는말이 될까요? 정확히 다시 알아보자 👀..

카테고리 없음 2022.04.18